본문 바로가기
공부하기/사회

카카오, 다음(Daum) 포털을 분사한 이유는?

by 뚜비루 2025. 3. 19.

최근 카카오는 포털 서비스 ‘다음(Daum)’을 별도 법인으로 분사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는 2014년 카카오와 다음이 합병한 이후 11년 만의 중요한 변화입니다.

그렇다면 카카오는 왜 다음을 분사했을까요?
이번 결정의 배경과 앞으로의 영향을 분석해보겠습니다.


1. 카카오 다음 분사 배경


1) 포털 시장 점유율 하락

다음은 한때 국내 2위 포털이었지만, 현재 검색 점유율이 2%대로 하락했습니다. 반면 네이버는 60% 이상을 유지하고, 구글의 국내 점유율도 30% 이상으로 상승하면서 다음의 입지가 약화되었습니다.


2) 수익성 문제

다음 포털은 광고 수익 의존도가 높지만, 검색 점유율이 낮아지면서 광고 매출도 감소했습니다. 카카오는 다음 포털 운영이 수익성이 낮다고 판단했을 가능성이 큽니다.


3) 카카오의 핵심 사업 집중 전략

카카오는 최근 카카오톡, 인공지능(AI), 모빌리티, 금융 등 수익성이 높은 사업에 집중하는 전략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다음 포털은 핵심 사업에서 밀려났고, 독립 법인으로 운영해 경쟁력을 강화하려는 전략으로 분석됩니다.


2. 다음 분사의 주요 목적


1) 의사 결정 속도 개선

카카오 내부에서 다음의 독립성이 부족해 신속한 의사 결정이 어려웠다는 지적이 있었습니다. 별도 법인으로 운영하면 더 빠른 의사 결정을 통해 새로운 전략을 추진할 수 있습니다.


2) 포털 경쟁력 회복 가능성

다음이 독립 법인이 되면 검색 서비스 강화, AI 기술 도입, 뉴스·콘텐츠 서비스 개선 등의 변화가 기대됩니다. 이를 통해 다시 시장 점유율을 높일 가능성도 있습니다.


3) 매각 가능성?

일각에서는 카카오가 수익성이 낮은 사업을 분사한 뒤 매각하는 전략을 활용해왔다는 점을 들어, 다음 포털도 결국 매각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3. 다음 분사의 영향 및 전망


1) 카카오 주가 영향

카카오는 비핵심 사업을 정리하면서 기업 가치 상승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다음 분사가 수익성 개선으로 이어지지 않으면 투자자들의 우려를 키울 수도 있습니다.


2) 포털 시장 변화

네이버와 구글이 압도하는 국내 포털 시장에서 다음이 독립 법인으로서 어떤 차별화 전략을 내놓을지 주목됩니다. AI 검색, 뉴스 큐레이션 등 새로운 서비스가 필요할 것입니다.


3) 사용자 반응

현재 다음 포털 사용자들은 뉴스, 카페, 이메일 등의 서비스 유지 여부에 관심을 보이고 있습니다. 향후 변화에 따라 사용자들의 이탈 여부도 결정될 것입니다.



카카오의 다음 포털 분사는 포털 시장의 경쟁력 저하, 수익성 문제, 카카오의 핵심 사업 집중 전략 등이 배경이 되었습니다. 독립 법인으로 운영되면서 새로운 기회를 찾을 수도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매각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앞으로 다음이 어떤 변화와 전략을 보일지 지켜봐야 할 중요한 시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