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금값이 지속 상승세를 보이면서 금에 대한 투자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그중 소액으로도 금에 투자할 수 있는 금통장이 주목받고 있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금통장의 개념부터 개설 방법, 활용 팁까지 전부 알려드릴게요.
1. 금통장이란?
금통장은 은행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로, 실물 금을 직접 보유하지 않고도 금 시세에 연동해 금을 사고팔 수 있는 예금 계좌입니다.
계좌에 입금한 금액은 ‘그램(g)’ 단위로 표시되며, 금값이 오르면 통장 잔액의 가치도 올라갑니다.
2. 금통장의 장점
✔️소액 투자 가능:
0.01g부터 투자할 수 있어 부담 없이 시작 가능
✔️편리한 매매:
모바일 앱이나 인터넷뱅킹으로 언제든지 금을 사고팔 수 있음
✔️실물 보관 불필요:
금고나 보험 걱정 없이 안전하게 투자
✔️유동성 확보:
수시 입출금이 가능해 필요할 때 자유롭게 현금화 가능
3. 금통장의 단점 및 주의사항
✔️수수료: 거래 시 1% 내외의 매매 수수료가 발생
✔️세금: 매매 차익에 대해 15.4%의 배당소득세 부과
✔️실물 인출 시 부가세 10% 별도 발생 (일부 은행만 지원)
4. 금통장 개설 방법
다음 은행에서 금통장 개설이 가능합니다
KB국민은행: KB골드투자통장
우리은행: 우리골드투자통장
신한은행: 골드리슈 통장
각 은행 앱 또는 인터넷뱅킹을 통해 비대면 개설도 가능하며, 개설 후 즉시 거래할 수 있어요.
5. 금통장 활용 팁
✔️매달 정기 투자:
매월 일정 금액을 투자해 평균 매입 단가를 낮추는 ‘적립식 투자’가 효과적
✔️금 시세 확인 필수:
실시간 국제 금값과 환율 확인 후 거래
✔️장기 투자에 적합:
단기 차익보다는 장기적인 자산 보존 수단으로 적합
6. 금통장 vs 다른 금 투자 방식 비교

금통장은 소액으로 금 투자를 시작하고 싶은 사람에게 최적의 선택입니다.
실물 보관 부담 없이, 앱으로 편리하게 거래할 수 있어 초보 투자자에게도 부담 없는 금테크 수단이죠.
다만 수수료와 세금 구조를 잘 이해하고, 장기적인 자산 관리 목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공부하기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출 서울쏠림 현상] 수도권 집중의 그늘, 지방은 왜 소외되는가? (1) | 2025.04.30 |
---|---|
2025년 4월, 금값 사상 최대치 경신! 원인과 향후 전망은? (2) | 2025.04.21 |
2025년 다이아몬드 가격 하락, 그 이유와 향후 전망은? (0) | 2025.04.17 |
다이소 매출 4조 돌파! 고물가 시대에 가성비로 살아남은 비결은? (2) | 2025.04.15 |
2025년 1분기 삼성전자 영업이익 발표! 갤럭시 S25 흥행·반도체 회복세 주목 (1) | 2025.04.08 |